邯 [현이름 한, 현이름 감] 鄲 [조나라 서울 단, 현이름 단] 之 [어조사 지] 步 [걸을 보]

 

 

한단에서 걸음걸이를 배운다는 뜻으로 분수를 잊고 무턱대고 남을 흉내 내다가 다 잃음을 비유하는 말

 

연나라 수도 무릉의 어느 소년이 조나라 수도 한단 사람들의 걸음걸이가 경쾌하고 우미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소년을 그 걸음걸이를 배우려고 천리길 멀다 하지 않고 한단까지 가기로 했습니다.

산을 넘고 강을 건너 한단에 당도한 소년은 온종일 거리의 모퉁에 서서 한단 사람의 걷는 모습만 주시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그 특징을 파악해 흉내내려 했지만 좀처럼 몸에 익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그 소년은 그 이유가 원래 걸음걸이가 몸에 베어 있기 때문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종래 걸음걸이를 완전히 잊어버리기로 했습니다.

그의 대단한 노력으로 인해 본래의 걸음걸이를 버리고 새 걸음걸이를 습득하고자 밤낮 고심을 했습니다.

걸음 내딛는 법, 손 젓는 법, 몸 놀림 등등 하지만 숙달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소년은 배우는 것을 체념하고 고국으로 돌아가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돌아가는 길엔 설설 기어서 돌아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이전 걸음걸이도 완전히 잊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정보통 > 취업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룡승운 (飛龍乘雲) 이란?  (0) 2013.06.09
앙천이타 (仰天而唾) 란?  (0) 2013.06.02
수렴청정 (垂簾聽政) 이란?  (0) 2013.06.01
중원축록 (中原逐鹿) 이란?  (0) 2013.05.30
점입가경 (漸入佳境) 이란?  (0) 2013.05.28

 

면접전형을 위해 면접 스터디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른 전형의 경우 혼자 준비하는 것이 쉽지만 면접의 경우 면접관 역할을 해주는 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비슷한 업종, 동일 기업에 지원한 사람들끼리 모여 정보도 공유하고 면접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본 결과 많은 구직자들이 면접 스터디를 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고,

면접 스터디가 실제 면접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과반수 이상이였습니다.

 

 

면접전형 준비할때 면접 스터디 과연 중요할까요? 필요할까요?

 

면접 스터디 중요한 이유 1. 정보 교류

지원하는 회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주의사항, 인재상 등 입사를 위해 알아두어야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정보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부분을 서로 체크해 줄 수 있고 사전 수집할 수 있습니다.

공통의 목적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이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면접 전형 대비가 될 수 있습니다.

 

면접 스터디 중요한 이유 2. 취약점 극복

본인은 본인의 습관, 말하는 태도를 잘 파악할 수 없습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알 수 없는 부분을 서로 피드백을 통해 지적하여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예상 질문을 주고 받으며 사전 질의응답 연습을 통해 서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면접 스터디 중요한 이유 3. 실전 대비

아무리 스펙이 좋고 면접에 자신이 있다 하더라도 실제 경험을 해보지 않는다면 대부분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실제 면접장과 같은 분위기, 같은 느낌으로 면접자과 면접관이 되어 실전에 대비해보시는 것이 도움됩니다.

이런 실전 대비 연습으로 인해 실제 면접에서 당황하지 않고 편안한마음으로 본인의 실력 200% 발휘 할 수 있습니다.

 

 

'면접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면접 후기 - 삼성전자  (0) 2013.05.31
면접 유형별 스터디 방법  (0) 2013.05.28

면접 유형별 스터디 내용도 달라집니다.

면접 유형별 스터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에듀스 면접정보를 참고하였습니다.

크게 면접 유형으로는 집단토론면접, 프레젠테이션(PT)면접, 인성(임원)면접, 영어면접 입니다.

 

 

 

 1. 집단토론면접

- 최근 이슈되고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각자 관련 자료를 찾아본 후 자신의 의견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참여합니다.

- 사회자가 미리 온라인 커뮤니티에 주제와 관련 있는 자료를 올려 참여합니다.

- 실제 면접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토론 시작시 주제를 정하여 즉석에서 토론에 참여합니다.(강추!)

 

2. 프레젠테이션(PT)면접

- 사전 공통되는 주제를 정해 PT할 내용을 정리해와서 참여합니다.

- 각자 다른 주제를 정해 PT하여 서로 의견을 교류하여 참여합니다.

- 매일 한 사람만 PT를 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피드백하는 방법입니다.

- 매일 모든 인원이 PT를 하고 PT경험 횟수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3. 인성(임원)면접

- 면접과 피면접자 비율에 따라 다:다, 1:다로 구성하여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질의응답합니다.

- 자기소개서가 없을 경우에는 빈도가 높은 질문 유형을 미리 준비해 질문합니다.

 

4. 영어면접

- 미리 질문을 공지하여 모범 답안에 맞게 연습 한뒤 질문하는 방법입니다.

- 즉흥적으로 질문을 하고 대답하는 방법입니다.

- 1분 스피치, 지원동기, 자기소개서 등 주요 질문에 대해서 미리 스크립트를 만들어 반복적인 피드백을 합니다.

 

 

 

 

'면접전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면접 후기 - 삼성전자  (0) 2013.05.31
면접전형 준비 - 면접 스터디의 필요성  (0) 2013.05.29

+ Recent posts